왕릉,묘,무덤

[조선왕릉] 화성 융릉과 건릉(화성 융건릉) (2016.04.26)

산을 오르다. 2016. 4. 26. 22:42
728x90

[조선왕릉] 화성 융릉과 건릉(화성 융건릉) (2016.04.26)

 

 

 

 

 

 

 

정의

경기도 화성시 효행로에 있는 조선후기 장조와 헌경왕후를 모신 융릉과 정조와 왕비 효의왕후를 모신 건릉을 통칭하는 능호를 지칭하는 용어. 사적.

내용

1970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장조는 영빈이씨()의 소생으로 1736년(영조 12)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정치싸움에 휘말려 영조의 진노를 얻어 뒤주 속에 갇혀 죽었다. 영조가 그에게 사도()라는 시호를 내리고 배봉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 기슭에 초장한 것을 1789년(정조 13)에 정조가 이곳으로 이장하고 현륭원()으로 명명하였다.

그 뒤 1899년 사도세자가 장조로 추존되면서 융릉으로 승격하였다. 혜빈 홍씨는 1815년(순조 15)에 죽어 그 이듬해에 현륭원에 합장되었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아들로 1759년에 왕세손으로 책봉된 뒤 1776년에 즉위하여 24년간 재위한 뒤 1800년에 죽자 현륭원 동쪽에 초장하였다가 효의왕후가 1821년에 죽자 현륭원 서쪽으로 이장하여 합장하였다.

[華城隆陵과健陵]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융건릉 입구의 모습

 

 

 

융건릉 입구의 향나무

 

 

 

융건릉 입구

 

 

 

융건릉의 철쭉

 

 

 

융건릉의 신록

 

 

 

융건릉의 신록

 

 

 

융릉의 홍살문과 정자각

 

 

 

융릉 능침

 

 

 

융릉 정자각

 

 

 

융릉 정자각

 

 

 

융릉의 모습

 

 

 

융릉 정자각

 

 

 

융릉 비각

 

 

 

융릉

 

 

 

융릉의 석물

 

 

 

융릉의 석물

 

 

 

융릉 비석(조선국 사도장헌세자 현륭원)

 

 

 

융릉비문 해설내용

 

 

 

대한 장조의황제 융릉, 헌경 의황후 부좌

 

 

 

융릉 비문 해설내용

 

 

 

융릉의 모습

 

 

 

융릉 홍살문의 모습

 

 

 

융릉 홍살문

 

 

 

융릉의 모습

 

 

 

융릉의 모습

 

 

 

융릉 홍살문의 모습

 

 

 

융릉의 모습

 

 

 

융릉 정자각과 능

 

 

 

융릉 정자각의 모습

 

 

 

융릉 안내문

 

 

 

융건릉 곤신지

 

 

 

곤신지

 

 

 

융건릉의 신록

 

 

 

융건릉 산책로

 

 

 

건릉의 모습

 

 

 

건릉 홍살문과 정자각

 

 

 

건릉 정자각

 

 

 

건릉의 모습

 

 

 

건릉의 모습

 

 

 

건릉 정자각

 

 

 

건릉의 모습

 

건릉의 모습

 

건릉의 능침

 

건릉의 석물

 

건릉의 석물

 

건릉의 모습

 

건릉 비문(대한 정조선황제건릉, 효의선황후부좌)

 

건릉 비문 해설내용

 

건릉의 모습

 

건릉 정자각

 

건릉의 모습

 

건릉의 모습

 

건릉의 모습

 

건릉 정자각

 

건릉 정자각

 

건릉의 모습

 

건릉 홍살문

 

건릉 홍살문

 

건릉의 모습

 

건릉의 모습

 

건릉의 모습

 

건릉의 모습

 

건릉의 모습

 

건릉 안내문

 

건릉의 모습

 

융건릉 산책로

 

융건릉 산책로

 

융건릉 재실

 

융건릉 재실

 

융건릉 재실

 

화성융릉 개비자나무(천연기념물 제504호)

 

화성융릉 개비자나무(천연기념물 제504호)

 

화성융릉 개비자나무(천연기념물 제504호)

 

화성융릉 개비자나무(천연기념물 제504호)

 

재실의 모습

 

재실의 모습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