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산행/경상남도,부산광역시 산행사진

재약산,천황산,능동산,가지산 산행사진 1 (2006.11.18)

산을 오르다. 2006. 11. 18. 09:23
728x90

재약산,천황산,능동산,가지산 산행사진 1 (2006.11.18)

 

 

영남 알프스 란 ?
영남알프스는 울산 울주구 상북면과 경남 밀양군 산내면, 경북 청도군 운문면 등 3개 시도에 모여 있는 해발 1천m 이상의 7개 산군(山群)을 지칭한다.


가지산
(해발 1,240m), 운문산(1,188m), 재약산(1,189m) 신불산(1,208m) 영축산(1,059m), 고헌산(1,032m), 간월산(1,083m) 등이 그것으로 유럽의 알프스와 풍광이 버금간다는 뜻에서 영남알프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영남알프스의 명물은 8∼9분 능선 곳곳에 펼쳐진 광활한 억새밭. 이 가운데 재약산 사자평원은 억새밭이 가장 장엄하게 펼쳐진 곳으로 꼽히고 있다. 무려 1백여만평에 이르는 사자평원에는 가을이면 흰색 자태를 뽐내는 억새가 활짝 피어나 등산객들을 반긴다.


재약산인가 천황산인가 ?.
재약산은 재약산, 수미봉, 사자봉, 천황산으로 혼동되어 부르고 있다. 또한 수미봉과 사자봉을 혼돈하기도 한다. 지형도나 대부분의 등산지도에는 재약산(수미봉 1,108m)과 천황산(사자봉 1,189.2m)이 따로 표기되어 있다.
지도상으로는 재약산은 주봉이 수미봉(1,108m)이고 천황산은 주봉이 사자봉(1,189.2m) 이다.천황산이 일제 때 붙여진 이름이라 하여 우리 이름 되찾기 일환으로 밀양시에서는 천황산 사자봉을 재약산 주봉으로 부르면서 위와 같은 혼돈이 생기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산하"에서는 지도상의 천황산(사자봉)을 재약산으로 이전의 재약산은 수미봉으로 표시한다. 대부분의 산꾼들은 일반적으로 재약산은 재약산 수미봉, 천황산은 재약산 사자봉으로 부르고 있다.

재약산(載藥山)
1,189.2m

영남 밀양 청도 일대 해발 1,000 미터 이상의 준봉들로 이루어진 영남알프스 산군중의 하나인 재약산은 산세가 부드러우면서도 정상 일대 사자봉 주변은 억새지대이다.
얼음골, 표충사, 층층폭포, 금강폭포등 수많은 명소를 지니고 있으며, 재약산 수미봉, 사자봉, 능동산, 신불산, 취서산으로 이어지는 억새풀 능선길은 억새산행의 대표적이다.
표충사 못미처에서 오른쪽으로 뚫린 계곡이 옥류동천이다. 오솔길을 따라 2㎞ 거리에 홍룡폭포가 있고 1.8㎞를 더 오르면 20m쯤의 폭포 2개가 연이은 층층(칭칭)폭포가 있다.
층층폭포에서 2㎞ 지점에는 늦가을의 명소인 사자평 분지와 폐교된 사자평분교(산동초등학교 고사리분교)도 널리 알려져 있다. 고사리마을로도 불렸던 이 일대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몇 가구가 민박을 받으며 식사를 팔았지만 지금은 모두 철거됐다.
한편, 표충사에서 북쪽으로 1.5㎞쯤 등반하면 일곱 빛깔 무지개가 영롱한 높이 25m의 금강폭포가 있다.
재약산 아래 대찰 표충사가 있고, 영축산으로 넘어가면 통도사, 가지산을 넘으면 석남사, 운문산을 넘으면 운문사가 있다. 그래서 예부터 이 일대의 산길은 아무리 험준해도 산승의 표연한 모습을 여기저기서 볼 수 있었다.
표충사 주위는 송림이 울창하다. 석탑과 사우들도 정갈하다. 원효가 창건했으며 사명대사와 효봉스님을 배출한 대찰. 특히 유품전시관을 두고 해마다 향사를 지내는 등 사명대사의 호국성지로 유명하다.
전시관에는 국보 75호인 청동합은 향완과 선조가 하사한 금란가사 등 보물과 문화재들이 가득 진열돼 있다.

 

 

가지산 1,240m
위치 :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경남 밀양 산내면, 경북 청도군 운문면

가지산 도립공원은 흔히 영남알프스라 하는 가지산(1240m), 취서산, 간(1092m) 일원과 천성산(812m) 등의 일원을 포함하여 1979년 11월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이곳은 전국도립공원 중 그 범위가 넓어서 석남사 및 인접 양산군지구로 나누어진다.
해발 천미터가 넘는 고헌, 가지, 운문, 천황, 간월, 신불, 취서산 등이 일대 산군을 이루며 솟아 있는데 이곳을 '영남 알프스'라 한다. 가지산과 운문산은 경상남북도의 경계지역으로 가지산이 이러한 산군 중에서 가장 높다.
가지산에는 곳곳에 바위봉과 억새밭이 어우러져 운문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로 능선을 따라 종주할 수 있다.
가을이면 석남고개에서 정상에 이르는 억새밭이 장관을 이루고, 기암괴석과 쌀바위는 등산객의 눈길을 이끈다.
가지산 정상 주변에는 암릉이 많다. 나무가 별로 없는 대신 시야가 훤하게 트인다. 바로 앞에 있는 듯한 백운산, 호박처럼 생겼다는 연못 호박소가 있다.


날씨 : 흐리고 쌀쌀한 날씨

코스 : 표충사 ~ 재약산 ~ 능동산 ~ 석남터널 ~ 가지산 ~ 석남사 입구
- 04:30 : 표충사 입구 주차장
- 04:50 : 표충사
- 05:52 : 사자평
- 06:37 : 재약산 수미봉(해발 1,108m)(구 재약산정상>
- 07:15 : 갈림길
- 07:29 : 재약산 사자봉(해발 1,189m)<구 천황산정상>
- 07:57 : 얼음골 갈림길
- 09:11 : 능동산(해발 982m)
- 10:13 : 석남터널 갈림길
- 11:20 : 가지산(해발 1,240m)
- 13:05 : 석남사 주차장입구


재약산,능동산,가지산 등산지도

 

 

재약산 수미봉 정상 표지석

 

 

재약산 정상 표지석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방향의 아침풍경

 

 

재약산 수미봉에서 본 재약산 사자봉(구 천황산)의 모습

 

 

밀양시 단장면 방향의 아침 풍경

 

 

재약산 사자봉(구 천황산)가는길에 본 재약산 수미봉의 모습

 

 

재약산 자사봉 가는길에 본 밀양시 단장면 방향의 산봉우리들

 

 

재약산 사자봉 가는길에 본 재약산 수미봉 방향의 모습

 

 

재약산 사자봉의 암봉

 

 

재약산 사자봉 정상의 돌탑

 

 

재약산 사자봉에서 본 밀양시 단장면 방향의 산봉우리들

 

 

재약산 사자봉에서 본 재약산 수미봉과 뒤로 신불산,취서산,영축산의 모습

 

 

재약산 사자봉에서 본 밀양시 단장면 방향의 모습

 

 

재약산 사자봉(구 천황산) 정상 표지석

 

 

재약산 사자봉 정상 표지석

 

 

재약산 사자봉에서 본 재약산 수미봉과 뒤로 신불산,취서산,영축산 방향의 모습

 

 

재약산 사자봉에서 본 밀양시 단장면 방향의 모습

 

 

재약산 사자봉(구 천황봉) 정상의 모습

 

 

재약산 사자봉에서 본 운문산,가지산의 모습

 

 

재약산 사자봉 정상에서 본 밀양시 단장면 방향의 모습

 

 

능동산 가는길에 본 재약산 사자봉 정상의 모습

 

 

능동산 가는갈에 본 밀양시 산내면 남명리 방향의 모습(뒤로 운문산,가지산)

 

 

능동산 가는길에 본 신불산,취서산,영축산의 모습

 

 

얼음골 갈김길의 등산 안내도

 

 

얼음골 갈림길의 등산로 표지판

 

 

능동산 가는길에 본 재약산 수미봉과 재약산 사자봉의 모습

 

 

능동산 가는길에 본 밀양시 산내면 남명리의 모습(뒤로 운문산)

 

 

능동산 가는길에 본 재약산 수미봉,재약산 사자봉의 모습

 

 

능동산 가는길에 본 간월산,영축산,취서산의 모습

 

 

능동산의 모습

 

 

가지산,석남고개,능동산 뒤로 고헌산

 

 

남명리 좌측으로 재약산 사자봉, 남명리 우측으로 운문산, 가지산의 모습

 

 

능동산 가는길에 본 남명리의 모습

 

 

능동산 가는길에 본 간월산,영축산,취서산의 모습

 

 

능동산 가는길에 본 간월산,영축산,취서산,재약산 수미봉,사자봉의 모습

 

 

능동산 가는길에 본 재약산 수미봉,사자봉의 모습

 

 

능동산 정상 표지석(해발 982m)

 

 

능동산 정상 표지석

 

 

능동산 정상에서 본 간월산,영축산,취서산,재약산의 모습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