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방산,국사봉 산행사진 1 (2006.12.10)
<왕방산>
포천군의 진산으로 불려온 왕방산(737m)은 포천읍 서쪽에 우뚝솟아 있는 산이다.
신라 헌강왕 3년(872)경 도산국사가 이 곳에 머무르고 있을 때, 국왕이 친히 행차, 격려하였다 해서 왕방산이라 불리어졌고도선국사가 기거했던 절을 왕방사라 했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
그 절터에 지금의 보덕사가 복원되었다.왕방산은 광주산맥 서쪽의 지맥인 천보산맥의 북단에 자리잡고 있는 산이다. 왕방산의 맑은 물이 모여 호병골계곡을 만들었다.
서울에서 43번 국도를 타고 가다보면 송우리를 지나서 포천읍까지 좌측에 보이는 산이 왕방산이다.
<국사봉(國射峰)>
조선 세조는 과거를 후회하고 말년에 산수를 벗삼아 명산대찰(名山大刹)을 찾고 수렵에도 취미를 가졌다. 하루는 신하들과 함께 칠봉산에 사냥을 나왔다. 수렵할 때는 사방위 중에서 어느한 곳을 정하여 시사(示射)를 하고 그 다음에 사냥이 시작되는데, 이 관례대로 왕은 칠봉산에서 동북방으로 마주보이는 왕방산의 주봉(主峰)을 겨누어 활을 쏘았다하여 그 주봉을 국사봉(國射峰)이라 이름한다
-동두천문화원-
날씨 : 맑으나 약간의 스모그 현상. 다소 쌀쌀한 날씨.
코스 : 포천 버스터미널 ~ 무럭고개 ~ 왕방산 ~ 국사봉 ~ 깊이울계곡 ~ 325지방도로
- 11:39 : 포천시외버스터미널
- 12:14 : 무럭고개
- 12:44 : 갈림길
- 12:50 : 528봉
- 12:58 : 525봉
- 13:03 : 520봉
- 13:22 : 갈림길
- 13:34 : 왕방산(해발 737m)
- 13:52 : 왕방이고개
- 13:56 : 587봉
- 14:55 : 국사봉(해발 745봉)
- 15:19 : 610봉
- 16:00 : 깊이울저수지
- 16:25 : 325번 지방도로
왕방산, 국사봉 등산지도
무럭고개 정상의 모습
무럭고개 들머리의 등산안내도
등산로 표지판
정상 가는길의 등산로
정상 가는길의 등산로
왕방산 가는길에 본 국사봉의 모습
등산로의 바위
호병동 갈림길의 등산로 표지판
노송
헬기장에서 본 국망봉,화악산,명지산,연인산,운악산의 모습
헬기장에서 본 포천시가지와 뒤로 국망봉,화악산,명지산,연인산,운악산의 모습
헬기장과 왕방산 정상의 모습
헬기장위의 눈
왕방산 정상의 소나무
왕방산 정상 표지석(해발 737m)
왕방산 정상에서 본 국사봉과 국사봉 정상 우측 뒤로 종현산의 모습
왕방산 정상에서 본 한북정맥 마루금(복주산~수원산 구간)
왕방산 정상에서 본 감악산,마차산,소요산,국사봉,종현산의 모습
왕방산 정상에서 본 운악산,수원산의 모습
왕방산 정상에서 본 광덕산,백운산,국망봉,화악산,명지산 방향의 모습
왕방산 정상의 삼각점
왕방산 정상의 소나무와 뒤로 해룡산의 모습
왕방산 정상의 소나무
왕방산 정상의 등산로 표지판(쇠목고개 방향으로 진행)
'국내산행 > 경기도 한강 북부권 산행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촛대봉 산행사진 1 (2006.12.23) (0) | 2006.12.23 |
---|---|
촛대봉 산행사진 2 (2006.12.23) (0) | 2006.12.23 |
왕방산,국사봉 산행사진 2 (2006.12.10) (0) | 2006.12.10 |
불무산 산행사진 1 (06.12.03) (0) | 2006.12.03 |
불무산 산행사진 2 (06.12.03) (0) | 2006.12.03 |